성만찬의 기원
<고린도전서 11장 17절~34절> 17 내가 명하는 이 일에 너희를 칭찬하지 아니하나니 이는 너희의 모임이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움이라 18 먼저 너희가 교회에 모일 때에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 함을 듣고 어느 정도 믿거니와 19 너희 중에 파당이 있어야 너희 중에 옳다 인정함을 받은 자들이 나타나게 되리라 20 그런즉 너희가 함께 모여서 주의 만찬을 먹을 수 없으니 21 이는 먹을 때에 각각 자기의 만찬을 먼저 갖다 먹으므로 어떤 사람은 시장하고 어떤 사람은 취함이라 22 너희가 먹고 마실 집이 없느냐 너희가 하나님의 교회를 업신여기고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랴 너희를 칭찬하랴 이것으로 칭찬하지 않노라 23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24 축사하시고 떼어 이르시되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25 식후에 또한 그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이르시되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26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그가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27 그러므로 누구든지 주의 떡이나 잔을 합당하지 않게 먹고 마시는 자는 주의 몸과 피에 대하여 죄를 짓는 것이니라 28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29 주의 몸을 분별하지 못하고 먹고 마시는 자는 자기의 죄를 먹고 마시는 것이니라 30 그러므로 너희 중에 약한 자와 병든 자가 많고 잠자는 자도 적지 아니하니 31 우리가 우리를 살폈으면 판단을 받지 아니하려니와 32 우리가 판단을 받는 것은 주께 징계를 받는 것이니 이는 우리로 세상과 함께 정죄함을 받지 않게 하려 하심이라 33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 34 만일 누구든지 시장하거든 집에서 먹을지니 이는 너희의 모임이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하려 함이라 그 밖의 일들은 내가 언제든지 갈 때에 바로잡으리라
할렐루야!
새 해 첫 주일 <선교회별 성만찬>에 오신 여러분을 주님의 이름으로 환영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이름으로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오늘은 특별히 선교회별 성만찬예식을 하는 날입니다.
우리 상동교회는 해마다 신년 첫 주일에 성만찬을 해 왔습니다.
우리 교회는 일 년에 두 번 대 예배 때에 성만찬을 합니다.
한 번은 신년 첫 주일이고 다른 한 번은 세계 성찬주일인 10월 첫 주에 합니다.
특별히 10월 첫 주는 우리 상동교회의 창립주일이기도 해서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 상동교회는 3년 전 부터는 신년 첫 주일 성만찬은 <선교회별 성만찬>으로 해 왔습니다. <선교회별 성만찬>은 선교회별로 성만찬을 나누는 성만찬입니다. 우선 예배 좌석을 선교회별로 배치하여 자기 선교회원들끼리 성도의 교제를 나누고 성찬 분급을 선교회별로 나와서 받습니다.
자 지금 앉으신 선교회 좌석에서 좌우로 옆 사람을 둘러보시지요? 옆 자리에 앉으신 성도님들은 같은 나이 또래의 선교회원들이십니다. 좌우로 인사하시면서 성도의 교제를 나누십시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주님의 사랑으로 따뜻하게 안아주시며 인사하세요.
오늘은 <선교회별 성만찬>을 하기 때문에 설교시간에는 아주 짧은 말씀만 전합니다. 오늘 제가 준비한 설교는 <성만찬의 기원>입니다. 성경본문은 고린도전서 11장 17절로 34절입니다.
오늘 읽은 성경본문은 고린도교회의 성만찬에 대한 말씀입니다. 고린도 교회는 주님의 말씀을 따라서 성만찬을 나누었습니다.(21절) 바울은 이 성만찬의 기원이 주님께로부터 받은 것이라고 전합니다.(23절) 성만찬은 주님께로부터 받은 것입니다. 성만찬의 기원은 예수님의 만찬입니다.(23절~26절)
예수님은 잡히시던 밤에 성만찬을 제정하셨습니다(23절) 그 날 밤 만찬을 베푸시고 떡을 나누어 주시면서 “이는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24) 또 식후에는 잔을 드시고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언약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25절) 예수님은 떡과 포도주를 나누어 주시면서 이를 기념하라고 말씀하시었습니다.(25절) 그리고 이런 성만찬의 의미는 <주님의 죽으심>을 주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입니다.(26절)
그러므로 성만찬을 받는 사람들은 <주님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거룩한 예식에 참여할 때 주님의 떡이나 주님의 잔을 합당하게 받아야 합니다.(27) 그렇지 않으면 주님의 몸과 피에 대하여 죄를 짓는 것입니다.(27) 그래서 성만찬에 참여할 때는 두 가지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하나는 자기를 살피는 것이고(28절) 다른 하나는 기다리는 것입니다.(33절)
이는 주님의 몸과 피를 나누는 거룩한 성만찬을 하면서 주님의 몸에 합당하지 않으면 죄를 짓기 때문이고, 그 죄로 인하여 약한 자와 병든 자와 잠자는 자가 교회 안에 많기 때문입니다.(30절) 구체적으로는 주님의 몸을 상징하는 떡을 먹을 때 기다리지 않고 자기들이 준비한 것을 자기들이 먼저 먹음으로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가난한 사람들을 업신여겼기 때문입니다.(20절~21절) 이는 그 당시 성만찬의 음식을 각자 준비해 왔는데 부자들의 음식과 가난한 사람들의 음식이 차이가 나는 것 때문에 생기는 파당이었습니다.(22절)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성도들에게 성만찬을 하면서 빈궁한 자들을 부끄럽게 해서는 안 된다고 권면합니다.(22절) 주님의 교회 안에서는 그 어떤 천대도 있어서는 안 되고, 그 어떤 파당도 있어서는 안 됩니다. 주님의 교회는 그런 일로 판단을 받아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32절) 우리는판단을 받지 않도록 자기를 살필 줄 알아야 합니다.(31절)
바울은 성만찬의 기원과 태도를 설명하면서 이 문제를 고린도교회의 분쟁과 파당과 연관 지어서 책망합니다. 교회 안에는 파당이 있어야 옳다 인정받는 사람들도 나타나는 데 옳지 않다는 것입니다.(19절) 또 분쟁이 있다는 것을 들었는데 이도 옳지 않다는 것입니다.(18절) 교회 안에 분쟁이 있고 파당이 있는 모임은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운 것입니다.(17절) 교회의 모임은 <판단 받는 모임>이 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34절) 바울은 언제든지 고린도교회를 방문하면 분쟁과 파당 문제를 바로 잡겠다고 말씀합니다.
오늘은 전교인이 성만찬을 나누는 신년 첫 주일이기 때문에 설교시간이 5분 이내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핵심만 전합니다. <성만찬의 기원>은 주님이 제정하신 것이고, 주님의 살과 피를 나누는 거룩한 예식임으로 분쟁하거나 파당을 지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화합하고 하나가 되라는 것입니다. 주님의 교회는 주님의 몸에 붙어 있는 한 몸의 지체입니다. 우리는 우리들이 서로 서로 한 몸에 붙어 있는 지체임을 깨닫고 성령이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켜야 합니다. 주님을 사랑한다면서 파당을 짓거나 분쟁하면 주님의 뜻대로 사는 것이 아닙니다. 열심도 좋지만 주님의 마음에 합당한 자가 되도록 하나 되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우리교회는 송구영신예배 때 2015년도를 근본으로 돌아가서 십자가의 복음, 원형질의 복음을 다시 만나는 신앙심의 회복을 주제로 선포했습니다. 그래서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말씀을 전했습니다. 저는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Ad Fontes!>를 지난 가을에 목사님들의 모임에서 함께 나누고 계속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교수들의 마음도 근본과 근원의 문제를 2015년도의 중심 과제로 선택했습니다. 물론 약간 다르기는 하지만 근본과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마음이 엿보입니다. 2015년도를 맞이하면서 교수신문이 택한 사장성어는 근본을 바로 세우고 근원을 맑게 하자는 정본청원(正本淸源)입니다. 교수신문은 2014년도를 지록위마(指鹿爲馬)의 해였다고 진단했습니다. 사슴을 말이라고 속이며 거짓말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2015년도에는 근본을 바르게 세우고 근원을 맑게 하자는 뜻을 가진 정본청원을 선택했습니다. 근본으로 돌아가자는 목회자들의 마음과 근본과 근원을 바르게 하자는 교수들의 마음에 근본을 새롭게 하려는 같음 마음이 느껴졌습니다.
오늘 우리는 주님의 몸과 피를 받으면서 우리가 돌아가야 할 근본인 십자가를 다시 생각합니다. 올 한 해는 더 이상 파당을 지어 분쟁하지 말고 신앙의 근본인 주님의 십자가 앞에 무릎을 꿇고 원형질의 복음 가장 순수한 성경적인 복음을 붙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진지하게 우리 자신을 살피고 진지하게 우리가 믿는 신앙의 근본을 다시 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 마디로 다시 주님 앞에 서서 새롭게 새 해를 시작하시자는 것이지요. 진짜 예수님을 믿는 믿음으로 살 수 있도록...
사랑하는 성도여러분! 주님의 몸과 피를 분급 받으실 때 자기를 돌아보시고 자기를 살피시면서 꼭 신앙의 근본인 십자가를 붙드시고 믿음의 근원을 맑고 깨끗하게 다시 시작하시기를 바랍니다.
'강론(講論) > 주일 예배와 수요 예배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따와 꼴통(삿11:1~11> 2015-0111 MYF 헌신예배 설교 (0) | 2015.01.26 |
---|---|
스데반 집사의 논쟁(행6:8~15) 2015-0104 석양예배 2015년도 임원헌신예배 (0) | 2015.01.05 |
구유에 탄생하신 예수님(눅2:1~7) 2014-1221 주일 (0) | 2014.12.31 |
나의 십자가(고전2:2) 2014-1228 주일 (0) | 2014.12.29 |
<바울의 감사>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