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당(1)- 개념 설명/ 서론적 소개
Ⅰ
‘열심’(zeal)과 ‘열심당’(zealots), 이 두 개념에 대한 연구는 후기 제2성전 시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마카비 전쟁기(167-142 BCE)부터 유대인의 對 로마항쟁기(CE 66-74)까지의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9-20세기에 와서 ‘열심당’은 하나님과 율법에 대한 ‘열심’에 뿌리박은 경건의 한 모델을 지칭하는 전용어가 되었다(Kohler 1905; Farmer 1956; Hengel 1956). ‘열심당’이라는 이 용어는 외국의 통치, 특히 로마 통치에 대항하던 매우 과격하고 호전적인 유대인 반항자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또한 특별하게 사용되던 용어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 용어는 한층 더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용어는 눅 6.15; 행 1.13에서 예수의 제자들 중의 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어 있는데, 그는 시몬 베드로와 구별하기 위하여 열심당 시몬이라고 지칭되었다.
또한 이 명칭의 아람어형은 ‘카나나’(qan'ana)이다. 이 단어의 원형인 ‘카나’는 ‘시기하다’라는 뜻으로서, 열심당 멤버들은 하나님의 질투를 불러일으키는 우상숭배와 배교와 그 밖의 율법위반에 대한 하나님의 의로우신 분노와 심판의 대행자로서 그들 자신을 하나님게 바쳤다[‘질투’와 ‘열심’은 동일한 히브리 어원을 지니고 있다].
이 용어는 로마의 통치에 대항하여 싸웠던 유대 저항자들이 그들 자신을 지칭했던 용어로서, 근래의 연구에서 이 용어는 갈릴리 사람 유다로부터 시작하여(6 BCE) 마사다 요새 방어자들의 자결로 종결된(CE 74) CE 1세기의 저항운동에 가담했던 전 집단의 명칭으로 해석되고 있다.
Ⅱ
열심당의 기본적 동기를 형성했던 ‘열심’의 신학은 이스라엘의 유일하시고 참된 하나님에 대한 배타적인 예배에 근거한 것이었다. “나, 너희의 주 하나님은 질투하는 하나님이라.”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 이스라엘은 거룩한 백성이며, 율법은 이스라엘로 하여금 하나님 앞에 거룩하게 하기 위하여 주어졌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배신함으로써 하나님의 질투를 야기 시켰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들에게 진노를 내리셨다.
따라서 열심당의 행위는 예방의 의미를 지닌 화해적이며 보상적인 행위였던 것이다. 열심당은 암세포를 잘라내는 외과의사처럼 날카로운 검으로 배교자들을 이스라엘에서 근절시켰다. 틀림없이 마카비 시대에 일어났던 이스라엘의 계약의 하나님에 대한 ‘열심’이 그의 율법에 결부되었을 때, 우리가 그리스-로마시대에 기승을 떨쳤던 것으로 알고 있는 열심주의의 기초가 다져졌는데 열심당은 율법의 엄격한 해석자로서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율법에 대한 열심”을 지키는 데 있어서 죽음도 불사했었다(참조. 행 22.4)-즉 그들은 이방인들을 살해하고자 했으며 또한 율법을 범하느니 차라리 죽음을 자청하고자 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율법에 대한 열심으로 인하여 그의 동족 이스라엘인들까지도 기꺼이 살해하고자 했었다.
CE 70년과 135년의 커다란 민족적 패배 이후, 이 열심의 신학은 유대교의 영적 지도자들에 의해 점차적으로 제한되었다. 이 신학은 랍비 유대교에 있어서 이스라엘의 이방인들에 대한 관계를 지배하는 유력한 신학적 주제로서 ‘샬롬’(Shalom, 평화)으로 대치되었다. 그리고 이 열심은 기독교에 있어서 새로운 신학에 어울리는 용어로 재정리되었다(참조. 고전 14.12; 딛 2.14; 벧전 3.13; 계 3.19).
'신학(神學) > 성경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열심당(3)-정체 (0) | 2006.04.17 |
---|---|
[스크랩] 열심당(2)-열심당의 전형 (0) | 2006.04.17 |
[스크랩] 신양성경의 기독론(번역) (0) | 2006.04.17 |
[스크랩] “신약성서 교회론적 이해” -김득중 교수의 ꡔ신약성서 개론ꡕ 제 1장을 중심으로 (0) | 2006.04.17 |
[스크랩] 김재성의 “민들레 성서 이야기”를 읽고( -“김재성,ꡔ민들레 성서이야기ꡕ(서울: 민들레성서마을, 2002)”를 중심으로-) (0) | 2006.04.17 |